매년 가을부터 겨울까지 유행하는 인플루엔자(독감)는 감염력이 매우 강하고, 노약자·어린이·임신부 등 고위험군에게는 폐렴, 심혈관 질환 등의 합병증 위험이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질병관리청은 매년 국가예방접종사업(NIP)을 통해 일정 대상에게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무료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올해(2025–2026절기) 무료 접종 대상과 일정, 유의사항을 최신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인플루엔자 무료 예방접종 대상자
구분 | 대상자 | 접종 기간 | 비고 |
---|---|---|---|
어린이 | 생후 6개월~만 13세 이하 | 2025년 9월 22일~2026년 4월 30일 (2회 대상자) / 1회 대상자는 9월 29일부터 | 위탁의료기관 및 보건소 접종 가능 |
임신부 | 임신주수 관계없이 전원 | 2025년 9월 29일~2026년 4월 30일 | 전국 어디서나 무료접종 가능 |
어르신 | 만 65세 이상 | 75세 이상: 10월 15일~4월 30일 70~74세: 10월 20일~4월 30일 65~69세: 10월 22일~4월 30일 | 지정 병의원 또는 보건소에서 무료접종 |
※ 해당 일정은 질병관리청(국가예방접종사업) 기준이며, 지자체별로 일부 기간이 다를 수 있습니다.
무료 예방접종 기관 확인 방법
-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 접속 (nip.kdca.go.kr)
-
“예방접종 위탁의료기관 찾기” 메뉴에서 지역 선택
-
어린이, 어르신, 임신부 각각의 대상별 접종 기관 검색 가능
-
-
관할 보건소 문의
-
주소지와 관계없이 전국 지정 의료기관 어디서나 접종 가능
-
단, 기관별 백신 물량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방문 전 확인 필수
-
접종 전 준비사항
-
신분증 지참 (주민등록증, 여권 등)
-
임신부는 산모 수첩 또는 임신 확인서 지참
-
어린이는 보호자 동반 필수
-
접종 전 발열·기침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반드시 의료진 상담 후 접종 결정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주의사항
-
접종 부위 통증, 발적은 정상적인 일시 반응으로 1~2일 내 완화됩니다.
-
발열, 두통, 근육통이 지속되면 의료기관에 문의해야 합니다.
-
접종 당일은 무리한 운동이나 음주를 피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1. 무료 접종은 꼭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서만 받을 수 있나요?
아닙니다. 주소지와 상관없이 전국 지정 위탁의료기관에서 무료로 접종 가능합니다.
Q2. 14세 이상 청소년이나 60대 초반은 무료 대상이 아닌가요?
국가사업 기준으로는 해당되지 않지만, 일부 지자체에서 추가 지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관할 보건소를 통해 확인이 필요합니다.
Q3. 임신 초기인데 접종해도 안전한가요?
임신주수와 관계없이 접종이 가능하며, 태아 건강에도 이롭습니다. 다만, 고열이 있거나 다른 질환이 있을 경우 의사 상담 후 접종하세요.
Q4. 인플루엔자와 코로나19 백신을 동시에 맞아도 되나요?
가능합니다. 두 백신은 다른 부위에 접종하면 동시 접종이 허용됩니다.
Q5. 접종 후 이상반응이 생기면 어디로 신고하나요?
이상반응이 발생하면 의료기관 또는 예방접종도우미(☎1644-8448)를 통해 신고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인플루엔자는 단순 감기가 아니라,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는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감염병입니다. 국가에서 지원하는 인플루엔자 무료 예방접종 제도는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입니다.
특히 어린이, 임신부, 어르신은 백신 접종을 놓치지 말고 반드시 참여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건강한 겨울을 위한 가장 확실한 준비는 ‘예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