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의학의 발달로 생명을 연장하는 치료가 가능해졌지만, 환자의 존엄한 죽음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도 중요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연명의료 결정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며, 본인이 원할 경우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해 두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명치료 거부 사전의향서 등록기관을 정리했습니다.
연명의료 사전의향서란?
-
말기 환자나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가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받지 않겠다는 의사를 사전에 작성한 문서
-
작성 대상: 만 19세 이상 성인 누구나 가능
-
작성 후 국가기관에 등록되어 의료기관에서 확인 가능
연명치료 거부 사전의향서 등록기관
1.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
보건복지부 산하 공식 기관
-
전국 등록기관 관리 및 데이터베이스 운영
-
홈페이지: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2. 보건소
-
전국 보건소에서 무료로 상담 및 작성 가능
-
본인 신분증 지참 후 방문
3. 지정 의료기관
-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에서 지정한 등록 의료기관
-
대형 병원 및 일부 중소병원 포함
4. 지정 상담기관
-
노인복지관, 건강지원센터, 호스피스 기관 등
-
상담 후 등록 가능
등록 방법
-
본인 방문: 반드시 본인이 직접 등록 (대리 작성 불가)
-
신분증 지참: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
전문 상담 후 작성: 등록기관 상담 인력과 1:1 상담 후 작성
-
등록 완료: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DB에 저장
등록 후 확인 방법
-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홈페이지에서 본인인증 후 확인 가능
-
의료기관에서 필요 시 바로 조회 가능
자주 묻는 질문 (Q&A)
Q1. 사전연명의료의향서는 누구나 작성할 수 있나요?
네. 만 19세 이상 성인이면 건강한 사람도 작성할 수 있습니다.
Q2. 작성 후 변경이나 철회가 가능한가요?
네. 본인이 원하면 언제든지 변경·철회 가능합니다.
Q3. 가족이 대신 작성할 수 있나요?
아니요. 반드시 본인이 직접 작성해야 합니다.
Q4. 등록 비용이 있나요?
무료로 작성 및 등록 가능합니다.
Q5. 작성하면 모든 연명치료를 거부하는 건가요?
본인이 선택한 항목(심폐소생술, 인공호흡기, 혈액투석, 항암제 투여)에 한해 거부 의사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결론 및 CTA
연명치료 거부 사전의향서는 존엄한 삶의 마무리를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가까운 보건소, 지정 의료기관, 상담기관에서 무료로 작성할 수 있으며, 본인이 원할 때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홈페이지에서 가까운 등록기관을 확인해 보세요.
함께보면 좋은 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