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를 보호하기 위해 꼭 필요한 절차가 바로 상표등록입니다. 상표를 등록하지 않으면 타인이 무단으로 사용하거나 도용할 위험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상표등록 방법, 절차, 비용을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상표등록 방법
1. 상표 검색
-
특허청 KIPRIS (특허정보검색서비스)에서 동일·유사 상표 존재 여부 확인
-
검색하지 않고 바로 출원하면 거절될 확률 ↑
2. 출원 준비
-
출원인 정보: 개인 또는 법인
-
상표 견본: 로고, 문자, 도형 등
-
지정 상품/서비스: 상표를 사용할 상품류 지정 (국제분류 기준 1~45류)
3. 상표 출원
-
특허청에 전자출원 (특허로, KIPOnet) 또는 대리인(변리사) 통해 신청
상표등록 절차
-
출원
-
특허청에 상표출원서 제출
-
-
방식심사
-
서류 형식 요건 심사 (미비 시 보정 요구)
-
-
실체심사
-
기존 등록 상표와의 유사 여부, 등록 요건 충족 여부 심사
-
약 6~8개월 소요
-
-
등록결정 및 공고
-
거절이유가 없으면 등록결정
-
2개월 동안 이의신청 기간 운영
-
-
등록료 납부 후 상표권 발생
-
상표권 효력 발생 (10년간 유지 가능, 갱신 가능)
-
상표등록 비용 (2025 기준)
1. 개인·법인 직접 출원 시 (전자출원 기준)
-
출원료: 62,000원 (1류 기준)
-
추가 상품 1개당: 2,000원
-
등록료(10년): 약 211,000원 (1류 기준)
2. 변리사 대리 출원 시
-
대행 수수료 포함 약 40만 원 ~ 70만 원대
-
난이도, 지정 상품 수에 따라 비용 달라짐
상표권 유효기간 및 갱신
-
유효기간: 10년
-
만료 전 1년 이내에 갱신 신청 가능
-
갱신 비용: 약 211,000원 (10년 연장)
상표등록 시 주의사항
-
반드시 상품/서비스 지정류를 정확히 선택해야 함
-
미사용 상표는 취소심판 대상이 될 수 있음
-
해외 진출 계획이 있다면 국제상표등록(Madrid Protocol) 검토 필요
자주 묻는 질문 (Q&A)
Q1. 상표등록까지 얼마나 걸리나요?
보통 6개월~1년 정도 소요됩니다.
Q2. 개인도 직접 등록할 수 있나요?
네. 특허청 전자출원 시스템을 이용하면 개인도 가능합니다.
Q3. 상표는 몇 년 동안 보호되나요?
10년간 보호되며, 갱신을 통해 무제한 연장이 가능합니다.
Q4. 상표와 서비스표 차이는 무엇인가요?
상표는 물품에 사용되는 표시, 서비스표는 서비스업에 사용되는 표시입니다.
Q5. 상표를 등록하지 않고 사용하면 문제가 되나요?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없으며, 타인이 먼저 등록하면 사용 중단이나 손해배상 위험이 있습니다.
결론 및 CTA
상표등록은 브랜드를 지키는 가장 중요한 절차입니다. 직접 출원 시 비용은 저렴하지만, 변리사 대리를 이용하면 안전하게 등록 가능합니다.
사업이나 브랜드를 운영 중이라면 지금 바로 특허청 전자출원(KIPRIS)을 통해 확인하고 등록 절차를 진행해 보시길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