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2025년 9월 26일 밤,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 전산실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했다.

국가 주요 데이터와 공공기관 정보시스템을 관리하는 핵심 기관이 불에 휩싸이면서, 정부 주요 서비스 수백 개가 동시에 중단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발생 개요

  • 발생 일시: 2025년 9월 26일 오후 10시경

  • 발생 장소: 대전 유성구 화암동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

  • 추정 원인: 전산실 5층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

  • 피해 규모: 직원 1명 경상 (1도 화상), 100여 명 대피

  • 진화 시간: 약 10시간 소요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 이후 항온항습기(서버 냉각 장치) 고장으로 내부 온도가 급상승했고, 일부 서버는 자동 차단되었다. 화재로 인해 정보시스템의 상당 부분이 물리적으로 손상된 것으로 파악된다.


피해 및 서비스 장애 현황

  • 정부 업무 시스템 647개 중단
    (행정·복지·민원 서비스 포함)

  • 주요 영향 서비스:

    • 정부24

    • 국민신문고

    • 모바일 신분증 발급 시스템

    • 일부 119 문자 신고 시스템

  • 공공기관 업무 차질: 중앙부처, 지자체, 공기업의 전자문서 시스템·홈페이지 접속 불가 사례 다수 발생

정부는 긴급 복구팀을 구성해 백업 데이터센터로의 전환 작업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서버 손상 범위가 커, 완전 복구에는 수일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대응 및 복구 계획

행정안전부는 즉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를 가동해 복구 체계에 들어갔다.

  • 단기 조치: 필수 민원·긴급 행정서비스부터 우선 복구

  • 중기 조치: 백업 센터(광주, 세종 등) 데이터 이관

  • 장기 계획: 전력·냉각 설비의 이중화, 리튬이온 배터리 대체 시스템 검토

이번 화재는 공공 데이터의 중앙 집중형 구조가 가진 취약성을 드러낸 사고로 평가된다.


자주 묻는 질문 (Q&A)

Q1.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어떤 기관인가요?
→ 행정안전부 산하 기관으로, 중앙정부·지자체·공공기관의 데이터와 시스템을 통합 관리하는 핵심 IT 인프라 기관입니다.

Q2. 왜 화재가 발생했나요?
→ 전산실 내부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폭발이 발생했고, 냉각장치 고장으로 화재가 확산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Q3. 서비스 중단은 언제 복구되나요?
→ 핵심 서비스는 1~2일 내 임시 복구가 진행 중이며, 전체 시스템 복원에는 약 일주일 이상 소요될 전망입니다.

Q4.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은 있나요?
→ 행정안전부는 현재까지 개인정보 유출 징후는 없다고 밝혔으며, 데이터 백업 센터를 통해 복구 중입니다.

Q5. 이번 화재로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을까요?
→ 국가 주요 데이터센터의 분산 관리 및 물리적 보안 강화의 필요성이 확인되었습니다.


마무리

이번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고는 공공 데이터 관리 체계의 안전성과 비상 대응 시스템을 다시 점검하게 만든 사건이다. 정부는 전력·냉각·백업 시스템의 이중화를 강화하고, 민간 클라우드 연계 백업 체계 도입을 검토 중이다.

국가 기반 시스템의 신뢰 회복이 향후 행정 혁신의 핵심 과제가 될 것이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