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는 피상속인의 사망으로 재산이 상속될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하지만 배우자가 상속받는 경우, 세법에서 특별히 큰 공제를 허용해 세 부담을 줄여주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부 상속세 면제 한도액을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1. 부부 상속세 면제 한도액 (배우자 상속공제)
-
상속세법에서 배우자 상속분에 대해 최소 5억 원에서 최대 30억 원까지 공제됩니다.
-
계산 방식:
-
배우자가 실제로 상속받은 금액이 5억 원 미만이면 5억 원까지 공제.
-
배우자가 실제 상속받은 금액이 5억 원 이상이면, 그 금액만큼 최대 30억 원 한도 내에서 공제.
-
즉, 배우자가 상속받은 금액은 최소 5억 원까지, 많게는 30억 원까지 상속세 과세 대상에서 빠지게 됩니다.
2. 예시로 보는 상속세 면제 한도
-
총 상속재산 6억 원, 배우자가 3억 원 상속 → 5억 원 공제 (실제 받은 금액보다 최소 공제액이 큼).
-
총 상속재산 20억 원, 배우자가 8억 원 상속 → 8억 원 공제.
-
총 상속재산 100억 원, 배우자가 40억 원 상속 → 공제는 30억 원 한도까지만 적용.
3. 배우자 상속공제의 조건
-
반드시 상속세 신고를 해야 공제가 적용됩니다.
-
상속재산 분할 협의서, 등기·명의 이전 등 증빙이 필요합니다.
-
상속을 실제로 받지 않고 단순히 배우자 명의로 돌려놓기만 한 경우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4. 배우자 상속공제 활용 포인트
-
상속세 절세 효과 극대화
→ 상속재산이 크더라도 배우자 상속공제를 활용하면 과세 표준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
2차 상속 대비 필요
→ 배우자 사망 시 다시 상속세가 부과되므로, 재산 분할을 균형 있게 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기타 공제와 병행 가능
→ 기초공제, 인적공제, 금융재산 상속공제 등과 함께 적용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1. 배우자가 상속을 전혀 받지 않아도 공제되나요?
→ 아니요. 실제 상속을 받아야 공제가 적용됩니다.
Q2. 5억 원은 무조건 공제되나요?
→ 네. 배우자가 받은 금액이 5억 원 미만이라도 최소 5억 원은 공제됩니다.
Q3. 최대 30억 원 공제는 어떻게 받나요?
→ 배우자가 실제 상속받은 금액이 30억 원 이상이어야 적용됩니다.
Q4. 상속세 신고를 안 하면 자동으로 공제가 되나요?
→ 아닙니다. 반드시 신고를 해야만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Q5. 배우자 상속공제와 증여공제를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 가능합니다. 다만 증여는 별도의 규정이 있으며, 10년 합산 과세 규정을 유의해야 합니다.
마무리
부부 상속세 면제 한도액은 최소 5억 원, 최대 30억 원까지입니다. 단, 반드시 실제 상속을 받고 신고해야 적용됩니다. 이를 잘 활용하면 상속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으니, 재산 분할과 신고를 꼼꼼히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