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KORAIL) 기차표를 예매한 후 일정이 변경되거나 취소해야 하는 경우, 예매취소 수수료와 환불 규정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취소 시점에 따라 수수료가 달라지며, 일부는 전액 환불이 가능하지만, 늦게 취소하면 환불금이 크게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코레일 기차표 예매취소 수수료 기준, 환불 방법, 주의사항까지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코레일 기차표 예매취소 수수료 기본 규정
1. 출발 24시간 전까지 취소
-
수수료: 없음(전액 환불)
-
예: 출발 8월 10일 10:00 → 8월 9일 10:00 이전 취소 시 전액 환불
2. 출발 24시간 전 ~ 3시간 전까지 취소
-
수수료: 400원(좌석당)
-
예: 8월 10일 10:00 출발 → 8월 9일 10:01~8월 10일 07:00 사이 취소 시
3. 출발 3시간 전 ~ 출발 직전까지 취소
-
수수료: 승차권 요금의 10%
-
예: 20,000원 승차권 → 2,000원 수수료 부과
4. 출발 후 20분 이내 취소(역 창구만 가능)
-
수수료: 승차권 요금의 15%
-
예: 20,000원 승차권 → 3,000원 수수료 부과
5. 출발 후 20분 경과 후 ~ 도착 전 취소
-
수수료: 승차권 요금의 40%
-
나머지 금액 환불
특별한 경우의 수수료 규정
1. 무임 승차권
-
취소 수수료 없음
2. 정기권, 회수권
-
잔여 횟수에 따라 환불액 계산
-
일부는 환불 불가
3. 단체 승차권
-
취소 시점에 따라 별도 규정 적용(출발 9일 전까지 전액 환불 가능)
코레일 기차표 예매취소 방법
1. 온라인 취소
-
코레일톡 앱 또는 코레일 홈페이지 접속
-
예매 내역 → 취소 버튼 클릭
-
실시간 환불 처리(카드 결제 시 영업일 3~5일 후 입금)
2. 역 창구 취소
-
신분증과 승차권 지참
-
현금 결제 시 즉시 환불 가능
3. 전화 취소
-
코레일 고객센터(1544-7788) 이용
-
출발 3시간 이전에만 가능
주의사항
-
예매취소는 반드시 출발 전 또는 규정된 시간 안에 해야 수수료를 줄일 수 있음
-
스마트폰 예매 후 종이 승차권으로 발권한 경우, 반드시 역 창구에서 취소해야 함
-
할인을 받은 승차권(예: N카드, 청소년 드림 등)도 동일한 수수료 규정 적용
Q&A
Q1. 출발 직전에 취소하면 얼마를 내야 하나요?
A. 출발 3시간 전~직전까지는 요금의 10%를 수수료로 냅니다.
Q2. 열차가 연착되면 수수료 없이 취소 가능한가요?
A. 네, 코레일 사유로 운행 지연 시 전액 환불됩니다.
Q3. 출발 후에는 무조건 취소가 불가능한가요?
A. 아닙니다. 출발 후 20분 이내에는 15%, 이후에는 40% 수수료를 내고 환불 가능합니다.
Q4. 온라인 예매 후 현장에서 발권한 표도 앱에서 취소되나요?
A. 불가능합니다. 반드시 역 창구에서 취소해야 합니다.
Q5. 예매취소 수수료는 인원별로 부과되나요?
A. 네, 승차권 1매(1인 기준)마다 부과됩니다.
마무리
코레일 기차표 예매취소 수수료는 취소 시점이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미리 취소할수록 수수료를 아끼고 환불금도 전액 받을 수 있으므로, 일정 변경이 예상된다면 빠르게 취소하는 것이 좋습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