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최저임금 인상, 실제로 받는 금액은 얼마일까?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6년 최저임금은 2025년보다 2.9% 인상된 10,32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시급만 보면 많아 보일 수 있지만, 실제 월급에서 4대 보험 등 각종 공제를 거친 후 내 손에 들어오는 실수령액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6년 최저임금 기준으로 월급 계산부터 실수령액 추정까지,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립니다.
✅ 2026 최저임금 기본 정보
-
시급: 10,320원
-
일급: 10,320원 × 8시간 = 82,560원
-
월급 (209시간 기준): 10,320원 × 209시간 = 2,156,880원
※ 월 209시간은 주 40시간 근무 + 주휴수당 포함 기준입니다.
※ 2026년은 전년 대비 약 610원 인상되었습니다.
💼 4대 보험 공제 항목 요약
최저임금으로 월급을 받는 근로자도 4대 보험 가입 의무 대상입니다.
아래는 근로자가 부담해야 하는 비율 기준입니다:
항목 | 근로자 부담율 |
---|---|
국민연금 | 4.5% |
건강보험 | 3.545% |
장기요양보험 | 건강보험의 13% (약 0.46%) |
고용보험 | 0.90% |
합계 | 약 9.4% |
💰 2026 최저임금 실수령액 계산
단계별 계산 예시
-
월급여 총액: 2,156,880원
-
4대 보험 공제액: 약 202,745원 (9.4% 기준)
-
실수령액:
→ 2,156,880원 × (1 - 0.094) ≈ 1,954,135원
이 계산은 소득세, 주민세 등 초과 공제가 없는 순수 최저임금자 기준이며, 연봉이 낮아 세금이 거의 없는 구조입니다.
📌 요약 정리
항목 | 금액 |
---|---|
2026년 시급 | 10,320원 |
월급 (209시간 기준) | 2,156,880원 |
4대 보험 공제 | 약 202,745원 |
실수령액 | 약 1,954,135원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소득세와 주민세는 공제되나요?
A1. 최저임금 수준에서는 소득세와 주민세가 거의 부과되지 않거나 매우 적은 수준입니다. 대부분 4대 보험만 공제됩니다.
Q2. 주휴수당이 포함된 금액인가요?
A2. 네. 월 209시간 기준에는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주 5일 × 8시간 근무 + 주휴수당 8시간)
Q3. 아르바이트생도 4대 보험을 공제하나요?
A3. 정해진 시간 이상 근무하고 1개월 이상 고용되면 4대 보험 가입 대상입니다. 단기 근로자는 예외일 수 있습니다.
Q4. 실수령액이 200만 원이 안 되는 이유는?
A4. 4대 보험 약 9.4%가 자동으로 공제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국가의 복지 혜택을 위한 의무 공제입니다.
Q5. 2027년에는 더 오를까요?
A5. 최저임금은 매년 최저임금위원회가 결정하며, 최근 인상률은 연평균 약 3% 내외입니다. 따라서 2027년에도 상승 가능성이 높습니다.
마무리: 최저임금도 실수령액 기준으로 확인하세요
시급이나 월급만 보고 생활비를 계획하면 실수령액과의 차이로 인해 예산이 어긋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4대 보험 공제 후 실제로 손에 들어오는 금액 기준으로 생활계획을 세우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2026년 실수령액은 약 195만 원 전후입니다.
✔️ 아르바이트생, 계약직, 신입 정규직 모두 참고해 실질 급여를 판단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