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을 하다 보면 의도치 않게 과속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도로교통법은 속도위반에 대해 엄격하게 규정하고 있으며, 위반 시 범칙금, 과태료, 벌점이 부과됩니다.
이 글에서는 속도위반 범칙금 과태료 각각의 차이와 부과 기준을 쉽게 풀어 설명하고, 실제 운전자들이 자주 헷갈리는 부분까지 정리했습니다.
속도위반 범칙금 과태료 벌점의 차이
범칙금
-
누가 내나요? 운전자가 직접 위반 사실이 적발되었을 때.
-
특징: 경찰이 단속해 발부하는 ‘범칙금 고지서’로 납부해야 하며, 벌점이 함께 부과될 수 있습니다.
과태료
-
누가 내나요? 차량 소유자. 운전자가 특정되지 않는 무인 단속 카메라 적발 시 부과.
-
특징: 벌점이 없지만 금액은 범칙금보다 다소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벌점
-
누가 받나요? 실제 운전자.
-
특징: 누적 벌점이 40점 이상이면 면허 정지, 121점 이상이면 면허 취소까지 가능합니다.
속도위반 기준별 범칙금·과태료·벌점
도로교통법상 일반 도로와 고속도로 모두 아래 기준이 적용됩니다.
| 위반 속도 | 범칙금 (승용차 기준) | 과태료 (승용차 기준) | 벌점 |
|---|---|---|---|
| 제한속도 +20km 이하 | 30,000원 | 40,000원 | 없음 |
| 제한속도 +20~40km | 60,000원 | 70,000원 | 15점 |
| 제한속도 +40~60km | 90,000원 | 100,000원 | 30점 |
| 제한속도 +60km 이상 | 100,000원 | 110,000원 | 60점 (면허 정지 가능) |
실생활 예시
-
시속 60km 제한 구간에서 85km 주행 → 제한속도 초과 +25km
-
범칙금 60,000원 + 벌점 15점
-
-
같은 상황에서 무인 카메라에 찍혔다면?
-
과태료 70,000원 (벌점 없음)
-
자주 묻는 질문 (Q&A)
Q1. 벌점은 언제 초기화되나요?
A1. 1년간 추가 위반이 없으면 벌점은 자동 소멸됩니다.
Q2. 범칙금을 내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A2. 납부 기한을 넘기면 가산금이 붙고, 최종적으로는 법원에 통보될 수 있습니다.
Q3. 벌점이 면허 정지 기준에 가까워졌을 때 대처 방법은?
A3. 교통안전교육을 이수하면 일정 벌점을 감경받을 수 있습니다.
Q4. 고속도로와 시내도로 과속 단속 기준은 다를까요?
A4. 과속 기준은 동일하지만, 고속도로는 제한속도가 높아 실제 과속 수치가 더 크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
Q5.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과속하면 어떻게 되나요?
A5. 과태료·범칙금이 2배 이상으로 가중되고, 사고 시 형사처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마무리
속도위반은 단순히 돈 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면허 정지, 나아가 교통사고 위험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벌점 누적 관리는 장기적으로 매우 중요합니다. 지금이라도 속도 준수 습관을 들여 안전운전과 경제적 손실을 동시에 예방하세요.
👉 안전운전은 나와 가족, 그리고 타인의 생명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지금부터 속도계에 조금 더 신경 써보는 건 어떨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