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증여 취득세율

부모가 자녀에게, 혹은 배우자 간에 주택 증여를 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세금이 바로 취득세입니다. 증여세와는 별개로, 증여받은 주택에 대해 반드시 납부해야 하는 지방세인데요. 

오늘은 주택 증여 취득세율과 주요 유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



주택 증여 취득세율 기본 구조

1. 일반 증여 취득세율

  • 증여로 주택을 취득하면 3.5% 취득세율 적용

2. 배우자·직계존비속 간 증여 시 특례

  • 동일 세율(3.5%) 적용

  • 단, 증여세 과세 여부와는 별개

3. 조정대상지역 내 2주택 이상 보유자

  • 증여로 취득 시 취득세 중과세율 적용

    • 2주택: 8%

    • 3주택 이상: 12%

4. 법인에게 주택 증여

  • 주택을 법인 명의로 증여 시, 무조건 12% 취득세율 적용


예시로 보는 주택 증여 취득세율

  • 무주택 자녀에게 부모가 아파트 증여 → 3.5%

  • 조정대상지역 1주택자인 배우자에게 증여 → 3.5%

  • 조정대상지역 2주택자인 자녀에게 추가 증여 → 8%

  • 3주택 이상 보유한 자녀에게 증여 → 12%

  • 법인 명의로 증여 → 12%


추가 세금 및 비용

  • 지방교육세: 취득세의 10% 추가

  • 농어촌특별세: 일부 경우 부과

  • 따라서 실제 부담 세율은 취득세율보다 조금 더 높아질 수 있음


자주 묻는 질문 (Q&A)

Q1. 증여세와 취득세는 다른 건가요?
A1. 네, 증여세는 국세, 취득세는 지방세입니다. 둘 다 납부해야 합니다.

Q2. 무주택자인데 부모님이 아파트를 증여해주면 세율은 얼마인가요?
A2. 일반 증여 세율인 3.5%가 적용됩니다.

Q3. 증여받는 사람이 미성년자여도 취득세를 내야 하나요?
A3. 네, 나이와 관계없이 증여받으면 취득세 납부 의무가 있습니다.

Q4. 부부 간 증여도 취득세 내야 하나요?
A4. 네, 증여세는 공제 혜택이 있지만, 취득세는 동일하게 3.5% 부과됩니다.

Q5. 증여세 면제 한도와 취득세는 연관이 있나요?
A5. 없습니다. 증여세 면제와 상관없이, 취득세는 반드시 내야 합니다.


마무리

주택 증여 취득세율은 기본 3.5%, 하지만 다주택자나 법인 증여의 경우 최대 12%까지 중과세됩니다. 증여세와는 별개로 취득세를 내야 한다는 점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 주택 증여를 계획 중이라면, 증여세와 취득세를 함께 계산해 보고 진행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