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소득세율표 2025년 기준 총정리

부동산을 매매하거나 주식, 토지, 건물 등을 양도할 때 발생하는 이익에는 반드시 양도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세율은 자산의 종류, 보유 기간, 과세표준 금액, 주택 수, 조정대상지역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양도소득세율표를 기준으로 최신 세율과 중과세 규정을 구체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양도소득세란?

양도소득세는 개인이 자산을 양도할 때 발생하는 차익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 양도차익 계산식: 양도가액 − 취득가액 − 필요경비

  • 과세 대상: 토지, 건물, 주택, 입주권, 상가, 주식 등

  • 주택은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을 충족하면 면제될 수 있음


양도소득세율표 (2025년 일반세율)

2년 이상 보유 자산 기본세율

과세표준 구간세율누진공제
1,200만 원 이하6%0
1,200만 원 초과 ~ 4,600만 원 이하15%108만 원
4,600만 원 초과 ~ 8,800만 원 이하24%522만 원
8,800만 원 초과 ~ 1억 5천만 원 이하35%1,490만 원
1억 5천만 원 초과 ~ 3억 원 이하38%1,940만 원
3억 원 초과 ~ 5억 원 이하40%2,540만 원
5억 원 초과 ~ 10억 원 이하42%3,540만 원
10억 원 초과45%6,540만 원

보유 기간별 차등 세율

  • 1년 미만 보유 자산: 양도차익의 50% 세율

  • 1년 이상 2년 미만 보유 자산: 양도차익의 40% 세율

  • 2년 이상 보유 자산: 기본 누진세율표 적용


양도소득세 중과세율

특정 조건에 따라 기본세율 외에 추가 세율이 붙습니다.

  • 조정대상지역 다주택자: 기본세율에 +10~30%p 가산

  • 비사업용 토지: 기본세율 +10%p 가산

  • 미등기 자산: 70% 중과세율 적용


예시 계산

예를 들어 2억 원의 과세표준이 발생했다면:

  • 해당 구간(1억 5천만 원 초과 ~ 3억 원 이하)에 해당 → 세율 38% 적용

  • 세액 계산: (2억 × 38%) − 1,940만 원 = 약 5,660만 원 납부


자주 묻는 질문 (FAQ)

Q1. 1세대 1주택은 양도소득세가 면제되나요?

네. 보유 2년 이상, 실거주 요건 충족 시 일정 금액까지 비과세 혜택이 있습니다.

Q2. 양도소득세율은 매년 바뀌나요?

정부 정책과 부동산 시장 상황에 따라 일부 조정될 수 있습니다.

Q3. 다주택자는 무조건 중과세인가요?

조정대상지역 내 다주택자에 한해 중과세율이 적용됩니다.

Q4. 비사업용 토지는 어떤 세율이 적용되나요?

기본세율에 10%p 가산된 중과세율이 적용됩니다.


마무리

양도소득세율표는 보유 기간, 자산 종류, 과세표준 금액, 주택 수에 따라 달라지므로 정확한 세율 확인이 필수입니다. 실제 납부세액은 각종 공제와 감면 제도를 활용해 줄일 수 있으므로, 세무 전문가 상담도 추천합니다.

부동산이나 자산 양도를 앞두고 있다면 반드시 최신 세율과 중과세 여부를 확인하세요.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