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기초연금 수급 대상이 되는지 알고 싶다면 재산 확인과 소득인정액 산정이 핵심입니다.
“집이 있는데 받을 수 있을까?”, “예금이 조금 있는데 자격이 될까?” 고민된다면 이 글을 통해 기초연금 수급자격과 재산 기준을 명확히 이해하고 준비하세요.
기초연금 수급 기본 요건
1. 나이 요건
-
만 65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이어야 합니다.
2. 소득인정액 요건 (2025년 기준)
-
단독가구: 월 2,280,000원 이하
-
부부가구: 월 3,648,000원 이하
소득인정액이란 단순한 소득이 아닌 소득 + 재산을 소득처럼 환산한 값입니다.
재산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재산의 소득환산 방식
-
보유한 재산에서 기본공제를 뺀 금액을 연 4%로 환산 → 월 1/12씩 소득인정액에 반영됩니다.
-
공제 후 남은 재산이 많을수록 소득인정액도 커져 수급 자격이 제한됩니다.
예시:
서울 거주 단독가구 – 주택 2억 원 → 공제 1.35억 원 → 남은 6,500만 원
→ 연 4% 소득환산: 2,600,000원 → 월 약 216,667원 소득 인정
재산 포함 항목
-
주택, 토지, 자동차
-
예·적금, 주식, 보험
-
전세보증금, 상가보증금 등
재산 공제 기준 (2025년)
-
대도시: 135,000,000원
-
중소도시: 85,000,000원
-
농어촌: 72,500,000원
※ 부채는 실제로 존재하면 공제 가능
기초연금 수급자격 자가진단 방법
-
복지로 홈페이지 이용
-
‘기초연금 자가진단’ 메뉴에서 소득, 재산 입력 후 결과 확인
-
-
주민센터·국민연금공단 지사 상담
-
실제 서류 기준으로 정확한 자격 판단 가능
-
-
신청 시 제출서류
-
신분증, 소득재산신고서, 금융정보 제공동의서 등
-
Q&A: 자주 묻는 질문
Q1. 집이 있으면 무조건 못 받나요?
→ 아닙니다. 기본공제 후 남는 금액이 적으면 수급 가능합니다.
Q2. 예금이 1억 있어요. 받을 수 있나요?
→ 예금도 공제 후 환산되므로, 기준액을 초과하지 않으면 가능합니다.
Q3. 자동차가 있으면 불이익 있나요?
→ 시가 4,000만 원 이상만 전액 소득으로 반영됩니다. 저가 차량은 제외될 수 있습니다.
Q4. 나이 조건은 충족하는데 거절됐어요. 왜일까요?
→ 재산과 소득 합산으로 인한 소득인정액 초과 때문일 수 있습니다.
마무리
기초연금은 단순히 연령만이 아니라 소득과 재산의 종합적인 평가로 지급 여부가 결정됩니다.
2025년 기준으로는 공제 기준이 높아져 더 많은 어르신이 수급 가능하므로, 재산이 조금 있다고 포기하지 마세요.
지금 바로 복지로 자가진단을 통해 확인하고, 가까운 주민센터에 문의해 보세요.
노후 생활의 든든한 버팀목, 기초연금은 미리 준비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 >>>




